Array Iteration
- forEach(콜백함수) : 배열의 각 요소에 대해 주어진 콜백 함수를 실행하지만, 값을 반환하지 않는 반복문
- Map(콜백함수) : 배열의 각 요소에 대해 주어진 콜백 함수를 실행하고, 새로운 사본 배열로 값을 반환하는 반복문
- filter(콜백함수) : 배열의 각 요소에 대해 주어진 콜백 함수를 실행하고, 조건을 만족하는 요소만 포함된 새로운 배열을 반환하는 반복문
- reduce(콜백함수) : 배열의 각 요소에 대해 주어진 콜백 함수를 실행하고, 누적된 결과값을 하나의 값으로 반환하는 반복문
- reduceRight() : reduce()와 동일하지만 오른쪽에서 왼쪽 순서로 실행

Map : 객체 메서드는 Map 자료구조에서 데이터를 조작할 때 사용하는 메서드, 순서가 유지됨
주요 Map 객체 메서드
- set(key, value) → key-value 쌍을 추가하거나 업데이트
- get(key) → key에 해당하는 값을 반환 (없으면 undefined)
- has(key) → key가 존재하면 true, 없으면 false 반환
- delete(key) → key를 삭제하고, 성공하면 true 반환
- clear() → 모든 요소 삭제
- size → Map의 요소 개수를 반환 (배열에서는 length 프로퍼티 사용)
같은 이름의 key가 있으면 덮어써짐
TypeScript
타입을 지정한 자바스크립트. JS는 느슨한 타입 언어이므로 어떤 유형의 데이터가 전달되는지 이해하기 어려움
- boolean : true 또는 false 값
- number : 모든 숫자
- string : 문자열 값
- any : 어떤 타입도 허용함. 타입 검사를 건너뜀
- unknown : 어떤 타입도 허용함. 타입 확인 함
- never: 절대로 값을 반환하지 않거나 발생하지 않는 값을 의미 (예외 처리, 무한 루프 등)
- undefined: 변수가 선언되었지만 초기화되지 않거나, 값이 정의되지 않은 상태
- null: 값이 없음을 명시적으로 나타내는 빈 값
타입을 명시하지 않아도 추론하여 안정성 높임
배열
배열에 타입을 지정하여 배열 안 값의 타입을 제한 할 수 있음, 모든 요소의 타입이 동일
readonly : 읽기 전용 배열
튜플
길이와 유형이 미리 정의된 형식화된 배열
각 요소에 타입 지정 가능
객체
객체 유형을 별도로 지정 가능
인덱스 시그니처
인덱스 시그니처는 객체에 동적으로 키와 그 값의 타입을 정의할 때 사용되며, 다양한 값들을 처리할 수 있음
ENUM
상수 그룹을 나타내는 클래스
0, 1, 2와 같이 나타내면 무엇을 의미하는지 코드만 보고 알 수 없기 때문에, enum으로 의미있는 이름을 부여할 수 있음
TypeAlias
복잡한 유형 표현에 사용, 타입을 따로 추출하여 정의 가능
Interface
객체의 타입. type alias와 비슷하지만 object에만 적용됨. 인터페이스는 상속이 가능
템플릿 리터럴
Return Type
함수에서 반환되는 값의 유형을 명시적으로 정의하는 것
TypeCasting
as : 변수의 타입을 변경
실제 변수 내의 데이터 형식을 변경하지 않음
Class
JS 클래스에 Type을 추가
프로퍼티, 메서드에 Type 지정 가능
생성자를 이용해 매개변수의 타입, 접근 제어자(public, private) 추가 가능
'[LG 유플러스] 유레카 > 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02.06] JAVA, JVM, TYPE, Garbage Collection (0) | 2025.02.06 |
---|---|
[TIL][02.05] implements, inheritance, override, abstract, generic, utility (0) | 2025.02.05 |
[TIL][02.03] ES6, SSR, CSR, SSG, SOP, CORS (0) | 2025.02.04 |
[TIL][01.24] JS, 배열, function, object, 생성자, Event, 반복문, Collection (0) | 2025.01.24 |
[TIL][01.23] BootStrap, JavaScript, let, var (0) | 2025.01.23 |
Array Iteration
- forEach(콜백함수) : 배열의 각 요소에 대해 주어진 콜백 함수를 실행하지만, 값을 반환하지 않는 반복문
- Map(콜백함수) : 배열의 각 요소에 대해 주어진 콜백 함수를 실행하고, 새로운 사본 배열로 값을 반환하는 반복문
- filter(콜백함수) : 배열의 각 요소에 대해 주어진 콜백 함수를 실행하고, 조건을 만족하는 요소만 포함된 새로운 배열을 반환하는 반복문
- reduce(콜백함수) : 배열의 각 요소에 대해 주어진 콜백 함수를 실행하고, 누적된 결과값을 하나의 값으로 반환하는 반복문
- reduceRight() : reduce()와 동일하지만 오른쪽에서 왼쪽 순서로 실행

Map : 객체 메서드는 Map 자료구조에서 데이터를 조작할 때 사용하는 메서드, 순서가 유지됨
주요 Map 객체 메서드
- set(key, value) → key-value 쌍을 추가하거나 업데이트
- get(key) → key에 해당하는 값을 반환 (없으면 undefined)
- has(key) → key가 존재하면 true, 없으면 false 반환
- delete(key) → key를 삭제하고, 성공하면 true 반환
- clear() → 모든 요소 삭제
- size → Map의 요소 개수를 반환 (배열에서는 length 프로퍼티 사용)
같은 이름의 key가 있으면 덮어써짐
TypeScript
타입을 지정한 자바스크립트. JS는 느슨한 타입 언어이므로 어떤 유형의 데이터가 전달되는지 이해하기 어려움
- boolean : true 또는 false 값
- number : 모든 숫자
- string : 문자열 값
- any : 어떤 타입도 허용함. 타입 검사를 건너뜀
- unknown : 어떤 타입도 허용함. 타입 확인 함
- never: 절대로 값을 반환하지 않거나 발생하지 않는 값을 의미 (예외 처리, 무한 루프 등)
- undefined: 변수가 선언되었지만 초기화되지 않거나, 값이 정의되지 않은 상태
- null: 값이 없음을 명시적으로 나타내는 빈 값
타입을 명시하지 않아도 추론하여 안정성 높임
배열
배열에 타입을 지정하여 배열 안 값의 타입을 제한 할 수 있음, 모든 요소의 타입이 동일
readonly : 읽기 전용 배열
튜플
길이와 유형이 미리 정의된 형식화된 배열
각 요소에 타입 지정 가능
객체
객체 유형을 별도로 지정 가능
인덱스 시그니처
인덱스 시그니처는 객체에 동적으로 키와 그 값의 타입을 정의할 때 사용되며, 다양한 값들을 처리할 수 있음
ENUM
상수 그룹을 나타내는 클래스
0, 1, 2와 같이 나타내면 무엇을 의미하는지 코드만 보고 알 수 없기 때문에, enum으로 의미있는 이름을 부여할 수 있음
TypeAlias
복잡한 유형 표현에 사용, 타입을 따로 추출하여 정의 가능
Interface
객체의 타입. type alias와 비슷하지만 object에만 적용됨. 인터페이스는 상속이 가능
템플릿 리터럴
Return Type
함수에서 반환되는 값의 유형을 명시적으로 정의하는 것
TypeCasting
as : 변수의 타입을 변경
실제 변수 내의 데이터 형식을 변경하지 않음
Class
JS 클래스에 Type을 추가
프로퍼티, 메서드에 Type 지정 가능
생성자를 이용해 매개변수의 타입, 접근 제어자(public, private) 추가 가능
'[LG 유플러스] 유레카 > 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02.06] JAVA, JVM, TYPE, Garbage Collection (0) | 2025.02.06 |
---|---|
[TIL][02.05] implements, inheritance, override, abstract, generic, utility (0) | 2025.02.05 |
[TIL][02.03] ES6, SSR, CSR, SSG, SOP, CORS (0) | 2025.02.04 |
[TIL][01.24] JS, 배열, function, object, 생성자, Event, 반복문, Collection (0) | 2025.01.24 |
[TIL][01.23] BootStrap, JavaScript, let, var (0) | 2025.01.23 |